교과과정 소개

2교과목 이수 안내

  • 가. 교양필수 과목
    • 모든 학생이 반드시 이수해야 하는 교양필수 과목이며, 학번별 이수 기준은 다음과 같다.
    • ① 2017 이전 학번
      • 글쓰기(2학점), 영어인증(4학점), 체육(2학점), 통합 HASS(6학점)을 포함하여 총 14학점을 이수하여야 한다.
        [단, 체육 과목은 총 2학점 이수: 체력관리(1학점) 및 검도 등 체육과목 중 1과목(1학점) 이수]
    • ② 2018 ~ 2019 학번
      • 글쓰기(2학점), 영어프로그램(4학점), 체육(2학점), 통합HASS(3학점), 대학생활과 미래설계I·II(2학점)을 포함하여 총 13학점을 이수하여야 한다.
        [단, 체육 과목은 총 2학점 이수: 체력관리(1학점) 및 검도 등 체육과목 중 1과목(1학점) 이수]
    • ③ 2020 이후 학번
      • 글쓰기(2학점), 영어프로그램(4학점), 체육(2학점), 통합HASS(3학점), 대학생활과 미래설계I·II(1학점)을 포함하여 총 12학점을 이수하여야 한다.
        [단, 체육 과목은 총 2학점 이수: 체력관리(1학점) 및 검도 등 체육과목 중 1과목(1학점) 이수]
  • 나. 교양선택 과목
    • ① 2017 이전 학번
      • 위의 교양필수 과목 외에 [인문학·사회과학·예술]에서 총 15학점 이상을 이수하여야 한다.
    • ② 2018 이후 학번
      • 위의 교양필수 과목 외에 교양선택 학점 총 18학점 이상을 이수해야 하며, [인문·예술], [사회과학] 각 영역별 최소 3학점을 포함한다.
  • 다. 기초과목
    • 기초 과목은 전공과목을 이수하기 위한 기본이 되는 과목으로, 기초필수와 기초선택으로 구분한다.
  • 라. 전공필수 과목
    • 전공필수 과목은 전공 이수를 위해 반드시 이수하여야 하는 과목으로서 이수학점은 학과마다 다르다. 학과에 따라서는 전공필수 과목을 전공 공통필수과목과 전공 선택필수과목으로
      구분하여 지정하는 경우도 있다.
  • 마. 전공선택 과목
    • 전공과목 중 전공필수 과목이 아닌 모든 과목을 말하며 자기의 세부전공 분야에 맞는 과목을 선택, 이수하거나 대학원에서 전공하고자 하는 분야를 염두에 두고 관심 있는 과목을 전공선택 과목으로 이수할 수 있다. 전공선택 과목은 자기 학과에서 개설되는 과목 외에도 ‘타 학과 교과목으로서 전공선택으로 인정되는 교과목’이 별도로 정해진 학과의 경우는 타 학과 개설교과목이라도 전공선택 과목으로 수강할 수 있다.
  • 바. 자유선택 과목
    • 자유선택 과목은 자기의 주 전공 외에 관심 있는 분야 교양 과목 및 타 학과 전공과목을 자유롭게 선택, 수강할 수 있는 과목이다. 학부생이 철강·에너지소재 대학원(전문대학원) 교과목 수강 시 자유선택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. 어느 특정 분야의 과목을 수강하다보면 그 분야에 관심이 높아지게 되고 이미 이수한 교과목을 토대로 부전공, 융합부전공 또는 복수전공을 이수할 수도 있다.
  • 사. 실천필수 과목 (2011~2017학번에게만 적용)
    • 실천필수 과목은 실천교양교육과정 이수를 위해 반드시 이수하여야 하는 과목으로서 이수 Unit은 대학생활과 미래설계 2 Units이다.
  • 아. 실천선택 과목 (2011~2017학번에게만 적용)
    • 실천선택 과목은 실천교양과목 중 실천필수 과목이 아닌 모든 과목을 말한다. 최대 Unit의 제한은 없으며 최소 5 Units 이상을 이수해야 한다.
  • 자. 부전공, 융합부전공 과목: 부전공 및 융합부전공편 참조
  • 차. 복수전공 과목: 복수전공편 참조
  •  전자전기공학과 학사팀
    학사팀
  • 최종수정일: 2022-08-26
TOP

Start typing and press Enter to search